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인감증명서 인터넷(온라인)발급, 정부24 신청방법 알아보기

by qq405 2024. 10. 4.
반응형

인감증명 탄생 이후 110년 만에 주민센터를 방문하지 않고, 이제부터는 인감증명서를 인터넷(온라인)으로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용도제한 사항이 있습니다. 지금부터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는 용도와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신청(발급) 방법

 

 

모바일이 아닌 PC에서 정부 24에 접속해서 전자서명(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과 휴대전화 본인인증 복합인증을 거친 후 발급용도와 제출서를 기재해 신청하면 됩니다.

 

인감증명서 현장 발급은 대리인도 신청이 가능하나, 정부 24 발급은 온라인 특성상 본인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처리기간은 즉시로 근무 시간 내 3시간입니다. <처리기간 계산방법>

 

인감증명서 온라인 발급 서비스는 정부 24 회원가입과는 무관하며 본인 인증으로 진행합니다.
발급사실은 국민비서 알림 서비스 또는 휴대전화 문자로 본인에게 알려줍니다.

 

※ 본인의 인감도장을 주소지 주민센터에 사전에 신고해 놓아야 필요시 인터넷 발급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발급이 되는 용도

면허 신청, 보조사업 신청 등을 위해 행정기관에 제출하거나 경력 증명 등의 목적으로 하는 용도로 제한합니다.

 

부동산 등기, 채권 담보 설정, 공탁 신청 등을 위해 법원에 제출하거나 대출 신청등 금융기관에 제출하는 재산권과 관련이 있는 용도는 주민센터를 방문하여야 합니다.

 

「정부 24에서 발급되는 온라인 인감증명서 서비스대상」

                      구분                                                    서비스 대상
          인·허가 및 면허신청 도로점용, 건축, 영업/폐업 신고, 개인택시, 옥외광고물 등
                 공증·보증 재정보증, 자금 대부 보증
                  보상청구 소송사무 청산금, 유족보상 등
             계약·사업신청 주택·토지개약, 청약, 입찰 참가 등
                 경력증명 인감증명서가 필요한 경력 증명 등

※ 온라인 인감증명서는 무료입니다.

서비스 제공 시기

10월 한 달간 시범운영한 후 오는 11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주요 내용

행안부는 인감증명서 온라인 발급 서비스를 시행함에 따라 인감증명서에 위·변조 검증 장치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정부 24에서 인감증명서 상단에 있는 16자리 문서확인번호를 입력하거나, 정부 24 앱 또는 스캐너용 문서확인 프로그램으로 하단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면 증명서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초 단위까지 발급시점을 확인할 수 있는 시점확인필 진본마크, 시각장애인·저시력자 등을 위한 음성변환 바코드도 적용합니다.
서비스 초기에 사용자의 문의가 많을 것으로 대비해 정부 24 콜센터(☎ 1588 - 2188)에 인감증명서 발급 안내 전담 창구를 운영합니다.

마무리

1914년에 인감서비스를 도입하여 공적·사적 거래에서 본인의 의사를 확인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는 인감증명서는 읍·면·동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해야만 발급을 받을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부터는 일반용 인감증명서 중 법원이나 금융기관에 제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외의 목적으로 행정기관에 제출하는 인감증명서는 편리하게 온라인 발급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출처=정부 24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